우선 디자인에 대한 높은 관심은 환영하지만 우려되는 부분이 굉장히 많습니다. 디자인은 궁극적으로 우리 문화와 역사 속에서 함께 공존하는 것이라,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하더라도 우리의 현재 상황과 환경을 고려한 근본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좋은 게 있다고 하면 과거의 역사나 문화를 쉽게 쓸어버리는 신개발주의적인 성향이 강해서 그런지, 감작스러운 변화로 인해 원래 우리 것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고 함께 어우러지지 않는 어색한 모습도 종종 발견하곤 합니다. 공공 디자인은 지자체의 경쟁거리나 몇몇디자이너와 특정 집단의 획일적 점유물이 아닌데 말입니다. 자발성 없는 공공 의식도 문제인데, 관이 주도하면 일반 시민들의 자발적인 의식 변화는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서두르지 말고 차근차근 우리에게 맞는 디자인을 만들어 나갔으면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미디어를 통한 공론화 과정과 추상적 담론이 아닌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에 나온 서울체를 예로 들면 그 글꼴에 관한 공론의 장이 필요한데, 무슨 의미를 담았다면서 발표했지만 실은 공감하기 어려운 얘기거든요, 지자체들의 심벌도 시각적 공해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데, 쭉 모아놓고 보면 다 비슷해서 각 지자체의 특성이 무엇인지 도무지 모르겠어요. 공공 디자인의 목적에 부합하고 역사에 부끄럽지 않으려면 디자인의 눈놓이를 선도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감대를 이룰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601비상 대표 박금준.(주)디자인하우스 발췌
[서울시 '디자인 서울거리' 잦은 수정으로 통일성 갖춘 거리 조성 난항 -은평시민뉴스 발췌]
서울시는 최근 한강 르네상스, 디자인 서울 거리 등 시책 사업을 펼치면서 서울시 전역을 공사장으로 만들었다는 불만과 함께 시민들로부터 차기 선거를 위해 임기 내에 성과를 내기 위한 무리한 사업 아니냐는 의혹도 사고 있다. 일단 사업부터 공표하고 가이드라인을 마련한 점이나 일선 공무원들과 공사 현장에서 가이드라인을 숙지하지 못한 문제 등이 '통합적공간' '지속 가능한 공간'을 지향하는 디자인 서울 거리 사업의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현장 실무자들과 소통과 전달이 잘 되지 않고 있다
도시건설사업이 시작되고 몇년 뒤에 가이드라인이 정리되었다(최근에 완성)
1차와 2차 3차 선정지가 각기 다른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받거나 공사 중간에 설계를 변경해야 했음
모호한 기준과 일방적인 제안 관련링크
서울시 서체에 대한 기대와 걱정(주)디자인하우스 월간 디자인 과월호 중 발췌.
1.서울서체 (남산체와 한강체)에 대해 걸린 연구기간이 짧다.
2.결과도 가독성이나 효율성이 많이 떨어진다.
3.향후 먼 미래를 생각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현재의 실적과 가시적 호응만을 목표로
서울시디자인의 문제점 관광객시선이 아닌 서울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의 시선 필요
현재의 디자인사업을 비평적으로 바라본다면 : 1.'가이드라인에 의한'
2.'일방적인'
3.'시각적 스펙터클의 창출'
^(only)
빠른 진행과 많은 양의 성과. 그러나 한편으로는 심도가 깊지 못한 가시적인
-소프트 서울이 왜 디자인의 지향점이어야하는가
-해치가 왜 서울의 상징이어야 하는가
등의 심도깊은 논의와 소통은 찾기 힘듬.
특정한 취향과 일방적 반영의 모습이 나타남
[디자인을 위해 장애우들을 고려하지않음]
장애인배려아쉬운'디자인 도로'ytn 뉴스(동영항 포함) - 가시적인 디자인.
서울시 2010 디자인특별화사업 예산내역
연번 |
사 업 별 |
예 산 액 (단위 백만원) |
|
계 |
101,214 |
1 |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
3,864 |
2 |
미술장식심의위원회운영 |
30 |
3 |
서울상징 종합마케팅 |
1,770 |
4 |
UNESCO 창조도시 지정 추진 |
210 |
5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운영준비 |
4,098 |
6 |
서울시 기념품·사무용품 디자인 개선 |
150 |
7 |
디자인서울 투어 |
150 |
8 |
TV 방송용 해치 애니메이션 제작 |
500 |
9 |
서울디자인 중장기 발전계획수립 학술용역 |
100 |
10 |
DDP 디자인미래관 디자인비전 전시컨텐츠 개발 |
600 |
11 |
디자인서울 홈페이지 유지보수 |
40 |
12 |
2009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엑스포 참여 |
497 |
13 |
SOFT SEOUL 실현 디자인 워크숍 |
20 |
14 |
디자인서울 영상물 기록관리계획 |
110 |
15 |
세계적 디자인 행사유치 및 지원 |
550 |
16 |
서울디자인 마케팅 지원 사업 |
1,000 |
17 |
디자인 인프라 구축 |
1,920 |
18 |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지원 |
200 |
19 |
서울디자인센터 운영 |
800 |
20 |
중소기업 디자인 지원센터 조성 |
2,000 |
21 |
광진구 구의로 먹자거리(미가로) 상징조형물 |
555 |
22 |
수변, 산변, 역사문화 경관계획 수립용역 |
600 |
23 |
디자인서울 거리조성 |
50,201 |
24 |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사업 |
4,441 |
25 |
좋은간판 선정사업 |
35 |
26 |
광고물DB 및 온라인 시스템 구축 |
73 |
27 |
민간 경관협정 사업추진 |
232 |
28 |
도시경관가꾸기 시범사업 |
2,222 |
29 |
서울모습 제4차 사진기록화 사업 |
301 |
30 |
쌍문역주변 특화거리조성 용역비 |
130 |
31 |
구의 먹자거리(미가로)조성 |
200 |
32 |
공공시설물 표준디자인 개발 및 개선 |
1,082 |
33 |
공공디자인 도입효과 평가시스템 개발 연구 |
90 |
34 |
공공시설물 공모전(전문가/시민) |
785 |
35 |
서울색 활용기법 개발 및 세계화 추진 |
253 |
36 |
서울색 적용 가이드라인 개발 및 시범사업 |
270 |
37 |
서울서체 적용 및 활성화 추진 |
205 |
38 |
서울 디자인위원회 운영 |
162 |
39 |
디자인서울 포럼 운영 |
22 |
40 |
가로 경관조명 사업(남부순환도로, 성수역~뚝섬역) |
1,721 |
41 |
내부순환도로 경관조명 사업(홍지문~성산대교북단) |
128 |
42 |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사후평가 시스템 구축 |
222 |
43 |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업그레이드 추진 |
90 |
44 |
서울특별시 우수 공공디자인 인증제 |
1,116 |
45 |
서울이야기 디자인 개발 및 해외 마케팅 |
66 |
46 |
조명분야 국제도시 협력사업 |
16 |
47 |
지하철 고가구조물(건대역~강변역)경관조명 설치 |
1,950 |
48 |
연말 빛의 거리 조성을 위한 우수조명 선정 |
110 |
49 |
동부간선도로(청담대교~삼성교)경관조명 설치 |
30 |
50 |
내부순환도로(유진상가~홍연2교)경관조명 설치 |
1,500 |
51 |
지하철7호선 지상구간 하부경관조명 설치 |
530 |
52 |
서울성곽(삼선지구)경관조명 설치 |
100 |
53 |
남산르네상스 야간경관조명 설치 |
1,600 |
54 |
경관조명시설유지관리 |
35 |
55 |
세계디자인수도(WDC) 추진 |
5,685 |
56 |
서울디자인 컬렉션 전시관 개관 |
400 |
57 |
서울디자인올림픽 2009 |
7,815 |
58 |
디자인 발전을 위한 국제디자인 경진대회유치 (Inclusive Design Challenge) |
300 |
59 |
디자인서울 참여 체험 프로젝트 추진 |
896 |
60 |
-지극히 이론적/이상적인 제안 => 대한민국, 서울 이라는 위치적의 특성이나 문화적 사항이 고려되는 것이 적다.
-글로벌=나라 어디를 가나 똑같은 문화양상 이라는 생각을 내비치는 디자인이 몇몇 보인다.
::외국인 관광객유치를 위해 좀 더 서양스럽게 꾸미려하는듯
-소수약자(장애우 및 노약자)<시민과 국민<관광객
추가 링크들
http://fvortal.cimerr.net/d4a/entry/%E2%98%85%EC%84%9C%EC%9A%B8%EC%8B%9C-%EA%B3%B5%EA%B3%B5%EB%94%94%EC%9E%90%EC%9D%B8-%EA%B0%80%EC%9D%B4%EB%93%9C%EB%9D%BC%EC%9D%B8%EC%9D%98-%EC%9C%A0%EB%8B%88%EB%B2%84%EC%84%A4-%EB%94%94%EC%9E%90%EC%9D%B8-%ED%8A%B9%EC%84%B1%EB%B6%84%EC%84%9D-%EA%B3%B5%EA%B3%B5-%EA%B3%B5%EA%B0%84%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EB%AF%BC%EB%B3%91%EC%95%84-%EC%9D%B4%EC%88%98%EC%A7%84-%EC%9D%B4%EC%97%B0%EC%88%99-2009%EB%85%84-8%EC%9B%94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8121701070230074002
http://blog.naver.com/ohsehoon4u